728x90

기존 모델의 다국적 언어를 지원하기 위한 한계

오늘 공부할 것은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 BERT 기반 문장 임베딩(Language-Agnostic BERT Sentence Embedding)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국어 임베딩 모델은 같은 임베딩 공간에 다른 언어들을 인코딩시키기에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는 텍스트 분류, 클러스터링 또는 언어 이해 등 다양한 태스크에 쓰일 수 있습니다.
이전 방법론들은(LASER나 m~USE) 서로 다른 언어들 간의 문장 임베딩 일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문장에서 다른 언어의 한 문장으로 매핑시키는 방법을 씁니다. 이들은 밀접하게 연관된 표현들을 얻기 위해 번역 쌍을 학습 데이터로 쓰는 번역 순위 태스크(translation ranking tasks)같은 곳에 적용될 때 종종 연관된 이중 언어 모델(en-xx)에 비해 고자원의 언어(en)에서 성능이 안 좋아집니다. 모델 케파의 한계와 저자원 언어의 질나쁜 학습 데이터 때문에, 좋은 성능으로 수많은 언어들을 지원하도록 다국어 모델을 확장시키기가 어렵습니다.

MLM pre-training의 제안과 여전한 한계

언어 모델을 개선하기 위해서 MLM pre-training 기법들(BERT, ALBERT, RoBERTa)이 제안되었습니다. 이는 단일 언어 텍스트만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들과 다양한 언어 처리 태스크에서 좋은 성능을 냈습니다. 또한, MLM pre-taining은 MLM 학습에 연결된 번역 쌍을 포함하거나(translation language modeling (TLM)) 단순하게 여러 언어들의 사전 학습 데이터를 도입하여 다국어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MLM이나 TLM 학습으로 학습된 표현법들은 (문장 단위에 목표가 아닌)태스크에 맞게 fine-tuning하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번역 태스크에 중요한 문장 임베딩을 바로 만들 수는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습니다.
이전 연구에서, 번역 순위 태스크를 이용해 다국어 문장 임베딩 공간을 학습하여, 주어진 소스 언어 문장에서 타겟 언어들의 문장 모음에 대해 (잘 된 것에 따라)순위를 매기는 방식입니다. 이는 공유하는 트랜스포머 인코더를 가지는 듀얼 인코더 구조가 되는데 이는 다중 병렬 텍스트 검색 태스크에서 좋은 성능을 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모델의 용량, 어휘의 범위, 학습 데이터 퀄리티 등으로 인해 이중 언어 모델이 여러언어를 지원하도록 확장할 때 문제가 생겼습니다.

다국어 BERT 임베딩 모델

본 연구에서는 LaBSE라는 다국어 BERT 임베딩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는 109개의 언어들에 대해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 교차 언어 문장 임베딩 생성을 만드는 데 도움이됩니다.

기본적으로 듀얼 인코더 구조로 소스와 타겟 문서는 공유된 임베딩 네트워크에 각각 인코딩됩니다. 번역 순위 태스크가 적용되면 서로를 의역하는 텍스트들은 비슷한 표현법들을 가지도록 만듭니다. 트랜스포머 임베딩 네트워크는 MLM이나 TSM 태스크에 의해 학습된 BERT 체크포인트에 의해 초기화됩니다. 모델은 MLM및 TLM 사전 학습을 사용하여 170억개의 단일 언어 문장과 60억개의 이중 문장 쌍으로 학습을 하였고, 학습 때 데이터가 없었던 저자원의 언어에서도 효과적인 성능을 보였습니다.

텍스트 검색 테스크 실험 및 결과 분석

다국어 텍스트 검색 태스크에 대해서 Tatoeba corpus를 이용해 실험하였습니다. 30개의 언어가 학습데이터에 해당 언어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모델은 주어진 문장에 대해 consine distance를 계산하여 비슷한 문장을 알아냅니다. 기존 benchmark들이 커버했던 것에 따라 그룹을 4가지(14개, 36개, 86개, 전체(112개))로 나누었습니다. 많이 커버하는 14개의 언어들에 대해서는 m~USE 와 LASER, LaBSE 모두 좋은 결과를 냈습니다. 커버하는 언어가 많아질수록 정확도는 낮아졌지만 LaBSE가 더 완만하게 낮아졌습니다. m~USE는 14개 이상 커버가 안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0개 이상의 학습 데이터에 없는 언어들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Model 14 36 82 All
m~USE (transformer ver) 93.9 - - -
LASER 95.3 84.4 75.9 65.5
LaBSE 95.3 95.0 87.3 83.7

본 연구는 웹 스케일의 병렬적 텍스트에 대해 마이닝 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고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적 텍스트 추출을 위해 대규모 코퍼스인 CommonCrawl에 LaBSE를 적용하여 엄청난 양의 중국어와 독일어 문장을 처리합니다. 각 중국어와 독일어 문장 쌍은 LaBSE모델을 기반으로 인코딩되고 인코딩된 임베딩은 인코딩된 77억개의 영어 문장들 중에서 잠재적인 번역 후보를 찼아 대략적으로 가까운 문장을 찾는 알고리즘을 통해 고차원의 문장 임베딩에서 비교적 빨리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수의 영어-중국어, 영어-독일어 잠재 번역 후보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는 고품질의 병렬 데이터로 훈련된 현재의 최고 모델과 크게 차이나지 않았습니다.

728x90
728x90

BERT의 소개

 오늘은 공부할 내용은 요즘 state-of-the-art가 된 BERT(Open Sourcing BERT: State-of-the-Art Pre-training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 대한 것입니다. NLP에서는 다양한 태스크가 있는데 이 태스크를 학습시킬 만큼 사람이 레이블 리한 데이터가 많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딥러닝 모델은 데이터가 많을수록 이점이 많은데 이에 따라 데이터가 적은 태스크들은 적절한 성능이 안 나옵니다. 그래서 위키피디아 같은 대량의 레이블이 안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generic 하게 학습하고(Pre-training), 학습된 모델에 태스크에 맞는 적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시켜 모델을 다시 조정(Fine-tuning) 하게 됩니다.

 

Contextual한 방법들과 Context-free한 방법들

 언어를 표현할 때는 다른 단어들과의 맥락을 고려할 수도 있고(Contextual), 단어 자체에 포커스(Context-free) 할 수도 있습니다. Context-free 모델에는 워드 임베딩 모델들(ex. word2vec, GloVe)이 주로 해당됩니다. Contextual 하게 표현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pre-traning 기법들(ex. Semi-supervised Sequence Learning, Generative Pre-training, ELMo, ULMFit) 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기존의 기법들은 주로 앞에 나오는 문장(단어들)을 가지고 해당 단어를 표현하기 때문에, 해당 단어의 맥락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해당하는 단어를 맥락에 따라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래서 앞에 나오는 문장뿐만 아니라 뒤에 나오는 문장도 같이 고려하면 좀 더 정확하게 표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Directional → Bidirectional). 그럼 이런 아이디어를 진작 왜 못했을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MLM과 NSP를 이용한 BERT 방법

 Directional 모델들은 단순히 이전 단어들을 기반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단어를 간단히 학습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bidirectional 모델의 경우에는 각 단어를 이전 단어들과 다음 단어들과 같이 학습을 해야 해서 이전과 같은 단순한 인풋의 형태로는 학습이 안되고, 설사하더라도 예측하고자 하는 단어를 이미 알고 단어를 예측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예측인데 예측하는 형태가 아니게 되는 겁니다.
 이런 이슈를 막기 위해서 단어에 mask를 쓰고 학습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단순하게 원하는 부분의 단어 예측이 가능합니다. 이를 MLM(Masked Language Model)라 합니다.

Input : The man went to the [MASK1]. He bought a [MASK2] of milk.
Labels : [MASK1] = store, [MASK2] = gallon

 단어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렇게 하면 문장들 간의 관계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NSP(Next Sentence Prediction)라 합니다.

Case1 : Sentence A = The man went to the store , Sentence B= He bought a gallon of milk, Label=IsNext
Case 2 : Sentence A = The man went to the store , Sentence B= Penguins are flightness, Label=NotNext

BERT의 성능과 그에 대한 의견

 SQuAD v1.1과 다른 9개의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태스크에서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도 다른 모델들보다 좋은 성능을 냈습니다. BERT로 이미 NLP 도메인에서 pre-training 한 모델이 있다면 따로 학습시키지 않고 fine-tuning만 해도 되는 게 큰 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BERT는 transformer를 기반으로 한 bidirectional 한 구조에서 mask를 이용하여 인풋과 아웃풋을 단순화시켜서 간단하게 성능이 좋아지는 것이 큰 이점이었던 듯합니다. 무엇보다 이전에 사람이 직접 한 것과 비교하여 뒤처지지 않는 것이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ransfer learning을 발전시키는 데도 큰 역할을 한 듯합니다. 좀 더 디테일한 내부 구조와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따로 공부를 하고 포스팅해야겠습니다.

 

728x90
728x90

컴퓨터 비전에서 대규모 pre-training 탐색의 필요성

 오늘 공부할 내용은 컴퓨터 비전을 위한 대규모 pre-training 탐색 기법(Open-Sourcing BiT: Exploring Large-Scale Pre-training for Computer Vis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Label 하는 것에 노동력이 많이 들어 Computer Vision(CV)에서도 ImageNet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로 미리 pre-training 한 다음 specific 한 task에 학습된 feature들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V에서 specific 한 새로운 task에 적용하는 것은 성능을 떨어트릴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normalization layer를 선택하고 학습 데이터의 양에 따라 구조적인 수용력이 늘어나는 기법이 필요합니다.

Pre-training 방법

 Pre-training을 위해 ILSVRC-2012< ImageNet-21k < JFT 데이터 셋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더 pre-training이 잘 되기 위한 방안 탐색했습니다.

①데이터 셋들을 단순한 ResNet을 사용해서 학습했는데, 결과적으로 데이터양이 많아질수록 학습 모델(ResNet)의 수용력이 커져야 (정확도) 성능이  잘 나옴을 발견했습니다.
② 같은 계산 비용과 학습 시간에는 데이터 셋이 클수록 정확도가 안 좋지만, 계산 비용을 높이고 학습 시간을 길게 주면 데이터 셋이 크더라도 점점 정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③ batch normalization(BN, activitaion들을 normalization 해서 학습을 안정화하는 layer)을 group normalization(GN)으로 바꾸면 성능이 좋아집니다. ⓐ BN의 state는 pre-training 단계와 transfer 단계 사이에서 조절해야 하지만 GN는 stateless, ⓑ BN은 배치 레벨 상의 통계를 이용하나, 이는 대형 모델에서 소형 디바이스 크기의 배치 크기에서는 신뢰할 수 없게 됩니다. GN는 이를 이용하지 않아 괜찮고, weight standaedization(WS)까지 이용하면 더욱 성능에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GN+ WS를 사용하면 큰 데이터 셋에서도 보다 잘 학습이 됩니다.

 

Transfer learning 방법

 아주 적은 양의 데이터 셋을 적용하여 BERT 방법을 써보았습니다. 사진의 하이레벨 특성을 가지고 하이퍼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BiT-HyperRule"을 적용합니다. 많은 양의 데이터 셋을 가지고 수용력이 큰 모델을 가지고 pre-training을 하면 fine-tuning 시에도 더 좋은 성능이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JFT 데이터 셋을 가지고 R152x4 모델을 러닝 했을 때 가장 성능이 좋습니다. 실제 환경에서 생성된 적은 양의 데이터 셋에도 잘 작동됨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에 대한 의견

 Novelty는 Pre-training 시에 GN+WS를 도입하여 stateless 화하고, transfer learning 시에 "BiT-HyperRule"을 적용하여 대규모 학습 시에도 잘 작동하며 여러 도메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결국은 데이터양이 많고 모델의 크기가 클수록 작동을 잘 한다는 것인데, 데이터의 양이 클수록 잘 되는 것은 당연해 보였는데 학습 시간이 길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모델의 수용력이 클수록 정말 잘 되는 것인지, 아니면 어느 지점에서는 성능이 수렴이 되는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BERT가 NLP에서 굉장히 연구가 많이 되고 있는데 CV에서도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니(BigTransfer (BiT): State-of-the-art transfer learning for computer vision), 다른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로 발전이 되고 있는지 한 번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고로, tensorflow에 튜토리얼이 엄청 친절하게 되어 있어서 연습해 보는 데 좋은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PEGASUS 설명

 오늘은 추상적인 텍스트 요약 모델(PEGASUS: A State-of-the-Art Model for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ICML 2020 논문이랍니다. 텍스트 요약 생성을 위해 RNN, Transformer encoder-decoder 등이 많이 쓰입니다. 특히, 요즘에는 semi-supervised를 동반하는 transformer 모델들이 잘 쓰임입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BERT입니다. 만약 self-supervised 목표 자체가 최종 태스크를 더 잘 반영한다면 더 성능이 좋은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e-training 시에 문서에서 어떤 문장들을 지우고, transformer의 결과를 지워진 문장들이 합쳐서 나오는 형식으로 학습합니다. 이는 실제로 현실에서 있을 수 있는 실제적인 (혹은 노이지 한) 현상들을 반영할 수도 있고, 최종 태스크인 fine-tuning 요약의 아웃풋과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문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이때 문서에서 "중요한" 문장을 잘 지우는 게(mask) 중요한데, 이때 n-gram을 기반으로 하는 ROUGE 유사성 척도를 이용합니다. 디테일하게는 T5 모델을 이용하여 웹 크롤링 된 문서들로 pre-training을 하고 12개의 specific 한 태스크 기반의 데이터 셋들을 이용하여 텍스트 요약을 진행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는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험 결과 

 state-of-art 만큼의 성능을 내기 위해서 fine-tuning 용 데이터가 생각보다 많이 필요 없습니다. 1000개 이상이면 어느 정도 supervised에 수렴하고, sample이 많지 않아도 돼서 annotation 부담이 줄어드게 됩니다. ROUGE는 기계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실제 유창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기반의 평가도 동반하였고, 적은 데이터(1000개)로 만들어진 요약도 충분히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짐이 나타났습니다. 실제 요약 사례에서, 정확히 배의 종류 개수에 대해 스스로 세어서 요약됨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종류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잘못 세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어쨌든 모델 스스로 알아낸다는 점에서는 흥미롭습니다.

 

연구에 대한 의견

 Pre-traning 시에 이미 final 태스크에 대해 어느 정도 포커싱을 하고 학습 모델을 만들면 결국 fine-tuning에서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점점 Dataset이 적어도 충분히 그 도메인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고안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ML을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도 점점 늘어날 듯합니다. 이제 데이터가 없어서 할 수 없어요라는 말은 점점 사라지고 다른 데이터 간을 어떠한 연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내는 게 더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어제 공부한 것과 연관시켜 생각해 볼 때, 다른 나라의 문서라도 바로 내가 원하는 나라의 문서로 요약되는 효율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요약 모델에서 번역 모델 이렇게 하면 당연히 지금도 되겠지만 2단계로 진행해야 하니, 그냥 바로 번역된 문장으로 요약되는 하나의 모델로 할 수 있는 방안은 고안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면 블롬버그 같은 데서 나오는 기사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확실히 BERT 이후, NLP 쪽은 이런 방향으로 많이 연구가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 NLP도 결과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서 재미있는 부분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728x90

'NLP' 카테고리의 다른 글

T5 , 텍스트-텍스트 전이 트래스포머  (0) 2022.06.05

+ Recent posts